중국(中國)현대사상사의 굴절-계몽과 구망의 이중변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0:21본문
Download : 본론.hwp
하지만 일부 정치․경제체제에서 ‘기’는 변할 수 있지만 ‘도’는 절대로 바뀔 수 없다고 하였고, ‘도’ 와 ‘본’은 심신 다스리는 ‘내학’으로서 서학과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서체중용론 중국(中國)현대사상사 중국(中國)사상사 현대사상사 사상사 / (동양사상의 이해 )
서체중용론 중국현대사상사 중국사상사 현대사상사 사상사
다. 실용이성은 외래의 사물을 받아들이고 흡수하는 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것들을 기꺼이 그리고 쉽사리 개조하고 alteration(변화) 시키고 동화시킴으로써, 자신의 일부분으로 만들어버리며, 요컨대 받아들이고 흡수한 후에 그것을 개조하여 자신의 체계에 동화시켜 버리는 것이다.서체중용론 중국현대사상사 중국사상사 현대사상사 사상사 / (동양사상의 이해 )
2. 중국(China) 현대의 課題에 대한 새로운 방법(서체중용론)
중국(中國)현대사상사의 굴절-계몽과 구망의 이중변주-
설명
Download : 본론.hwp( 56 )
3. 중국(China)현대사상에 effect을 미친 인물들 서체중용이란 즉 중국(China)식 사회주의 현대화의 길이다. 한자 그대로를 해석하면 서(西)학을 체(體)로 삼고 중(中)학을 용(用)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근현대의 중서文化(culture) 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이것은 가장 주목할 만한 ‘중체서용’의 변천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역시 전통을 계승하자는 국수파와의 강력한 대립을 피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개혁파들이 이 두 가지를 어떻게 안배할 것인가 생각하던중 장지동이 “중학을 체로 삼고 서학을 용으로 삼는다”는 “중체서용”론을 주장하였다.
순서
1. 계몽과 구망의 논리





새로운 방법 모색 중 ‘5․4’이후 근본적인 alteration(변화) 가 발생했다. 진독수와 노신이 전통 반드시 철저히 타도되고 ‘중학’이 근본적으로 방기되야만 중국(China)은 구제될 수 있다고 하였다. 처음에는 서학, 중학을 무조건적으로 반대하기만 하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독수는 ‘서학’과 ‘중학’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 현실적 사회생활에 관심을 갖고, 순수한 추상적 사변을 하지 않으며, 비이성적인 정욕이 횡행하도록 허용하지도 않으며, 사사건건 ‘실용’, ‘실행’을 강조하는 ‘실용이성’ introduction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도구주의에 지나지 않는 현대 미국이 실용주의와도 다르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