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혁신의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8:18
본문
Download :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hwp
이는 4차 산업 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사회 전 분야에 발달된 과학기술과 인공지능이 우리의 삶을 바꿔놓기 때문이다 ‘4차 산업’이란,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變化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되어 실세계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는 사회과학적 대혁신이다. 도교육청 장학사의 정책설명(explanation)과 data(자료)집을 현행 흐름에 맞게 연결한 data(자료)입니다.
설명
Download :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hwp( 69 )
핵심역량, 이해중심교육과정, 2015 개정교육과정, 교육 혁신
순서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혁신의 방향
다.
4차 산업헉명과 2015 개정교육과정,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연관성과 앞으로의 방향 등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레포트 > 교육계열
1. 직업의 미래
“교사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왜 존재해야 하는가?”
3. 역량중심교육과정 재구성 example(사례)





2. 역량중심 교육 혁신의 실현 방향
4차 산업헉명과 2015 개정교육과정, 역량중심 교육과정의(定義) 연관성과 앞으로의 방향 등을 요약한 data(자료)입니다. 일단 관련성과 흐름을 확실히 파악한뒤, 궁금하거나 더 깊게 알아보고자 하는 키워드를 추가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됩니다. 도교육청 장학사의 정책설명과 자료집을 현행 흐름에 맞게 연결한 자료입니다.
“학생은 미래를 위해 어떤 것을 배워야 하는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이 가운데 교육 분야도 큰 패러다임의 變化를 겪게 되었다. 초연결(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scope)에 더 빠른 속도(velocity)로 크게 영향(impact)을 끼친다. 일단 관련성과 흐름을 확실히 파악한뒤, 궁금하거나 더 깊게 알아보고자 하는 키워드를 추가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됩니다.
2016년 다보스 포럼(Davos Forum) 보고서 ‘직업의 미래(The Future of Jobs)’에 의하면 2020년까지 약 700만개의 직업이 사라지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반면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이 등장하는 직업은 약 200만개에 그칠 것이라는 展望을 내놓았다. 지식 전달이 빅데이터에 의한 인공지능으로 대다수 대체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단순 지식은 그 즉시, 쉽게, 바로 알 수 있다아 현장에서는 교사와 학부모의 불안감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아 이제부터 교사는 아래와 같이 끊임없이 질문하고 變化해 나아가면서 스스로 교사 존재 이유를 증명해야 하는 시대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