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현대국어 -었-`에 남아있는 `-어 있-`의 特性(특성) / 현대국어 ‘오오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22:59
본문
Download : 현대국어 - -었-`에 남아있는 `-어 있-`의 특성.hwp
1) ‘오오체’에 대한 기술은, 초창기의 여러 문법서에서는 상당히 혼란스러운데 그 이후의 문법서에서는 규칙적이고 단순화되었다. 국어 연구 성과가 집대성된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1999)의 ‘오오체’에 대한 항목을 찾아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예문들은 필요 부분만 요약하여 제시함). (1) 가. ‘-소’ 어미,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었-’, ‘-겠-’ 뒤에 붙어) 하 오할 자리에 쓰여, 평서, 의문,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가겠소, 많았소, 것 같소 , 식사 좀 드소, ...
Download : 현대국어 - -었-`에 남아있는 `-어 있-`의 특성.hwp( 33 )
현대국어 ‘오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서 정 목 현대국어 문법 기술에...
설명
다. 그리하여 ‘오오체’ 어미 기술의 혼란이 문법의 change(변화)와 더불어 유추와 변개에 의한 것임을 밝히고, 동남방언과 표준어의 ‘오오체’ 어미를 구조 기술 언어학의 형태 theory(이론)을 원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의문법, 평서법의 ‘오오체’ 어미와 명령법의 ‘오오체’ 어미가 형태소상으로는 서로 다름을 논증하고, 그에 따라 이들의 변형생성 문법 theory(이론)상의 통사적 자격도 서로 다름을 밝힌다. 이 글은 ‘오오체’ 어미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여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과 같은 상황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오오체’ 어미에 대한 바람직한 기술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이것이 유추와 변개에 의한 어형 change(변화)표의 단순화에 기인한다고 추정하였는데(서정목 1990, 1996), 이 글에서는 구체적 資料 검토를 통하여 그 추정을 뒷받침하고 이로부터 ‘오오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얻고자 한다. 핵심 어휘 하오체 어미, 청자대우 등급, 형태소, 변이 형태, 문법 change(변화) . 서 론 이 글은 ‘오오체(오소체)’에 해당하는 언어 형식의 형태소를 확정하고 그 변이 형태 실현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현대국어 -었-`에 남아있는 `-어 있-`의 특성 / 현대국어 ‘오오체’





현대국어 ‘오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서 정 목 현대국어 문법 기술에...
[인문사회] 현대국어 -었-`에 남아있는 `-어 있-`의 特性(특성) / 현대국어 ‘오오체’
순서
현대국어 ‘오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서 정 목 현대국어 문법 기술에서 ‘오오체’ 어미의 형태소 확인과 변이 형태 분포 파악은 치밀하게 논증되지 않은 채 상당한 혼란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