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경전에대하여 / 경전에 대하여 1. 불교 경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9:53
본문
Download : 경전에대하여.hwp
경전에 대하여
5. 아부타다르마 (미증유법) 부처님의 불가사리한 일들.
Download : 경전에대하여.hwp( 80 )
3. 가야 (중송) 글자 그대로 거듭 송한다는 뜻이고 거듭 설명(說明)하여 이해를 시킨다. 기독교의 신구약을 합한 것의 약 백오십배에 달한다고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우다나 (무문자설) 부처님이 직접 체험하고 느낀 이야기.
1. 수트라 (경) 가르침의 내용을 완벽하게 표현한 것. (비유적인 서술이 아닌)
6. 이티브타카 (여시어) 부처님의 말씀을 기록.
순서
9. 쟈타카 (본생) 부처님의 전생이 이야기.
불교에서 요구 하는 믿음은 반...
다.)
불교 경전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단순히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한 서적에 대한 총칭이라 할 수 있따 줄여서 불경이라 하고 단순히 경이라고도 한다. 경이라 함은 수트라(Sutra)를 번역한 말인데 계경, 정경, 관경으로도 불린다.)
7. 니다가 (인연) 어떤 경전을 설명(說明)하게된 사정이나 동기.





인문사회 경전에대하여 / 경전에 대하여 1. 불교 경전
설명
불교의 가르침의 방대함은 참으로 대단하다. 하지만 불교의 심오한 가르침에 접근해 들어가면 종교에도 깊고, 얕음의 차이가 분명히 있는 것 같다. 이 분류법은 부처님의 말씀이 최초로 편찬될 때부터 동시에 이루어 졌는데, 다음과 같다. 경전을 읽기 전에 종교란 다 같은 것이라고 나는 생각했다. 지금 생각도 그러하다. 누구나 참되게 살라는 가르침 인 것으로 생각한다.
1. 불교 경전
8. 아파다나 (비유) 말 그대로 비유나 우화를 바탕으로 가르침.
10. 브야카라나 (수기) 부처님께서 제자들에게 내린 예언.
불교경전이란
12. 바이풀라 (방등) 평등한 가르침. 문답의 형식.
불교는 맹목적인 믿음을 요구하지 않는다.
[인문사회] 경전에대하여 / 경전에 대하여 1. 불교 경전
불교만의 특별함.
11. 우파데사 (논의) 어떠한 사상을 연역적 또는 귀납적으로 전개, 보다 분명하게 밝힘.
경전에 대하여 1. 불교 경전 불교경전이란 불교 경전이란 무엇... (참고 : 1page는 표지 입니다. 불교 경전은 문체라든가 기술한 내용과 형식에 따라 열두 가지 로 분류하는데, 이를 십이분교 라고 한다.
2. 가타 (고기송) 운문체 또는 시의 형식.
경전에 대하여 1. 불교 경전 불교경전이란 불교 경전이란 무엇... (참고 : 1page는 표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