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음소정의(定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1:49본문
Download : 음운론-음소정의.hwp
구체적인 말소리와 그것이 머리 속에 반영된 것과는 같지 않은데, 이 뒷것이 곧 음소란 것이다.
Ⅱ. 여러 학자들의 異說
1. 쿠르트네이(J.Baudouin de Courtenay)
음소定義(정의)의 가장 고전적인 예로서, 무엇보다 먼저 쿠르트네이(J.Baudouin de Courtenay)의 그것을 들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음소는 ‘언어 음성의 심리적 대등’이라 定義(정의)된다 곧 앞에서 들어 說明(설명) 한 바 있는 국어의 [p]와 [b]는 우리 나라 사람으로는 구별할 수 없는 것이다.
2. 비이크(N. van Wijk)
이와 비슷한 定義(정의)는 비이크(N. van Wijk)에서도 볼 수 있다 그에 따르면, “한 언어의 음소는, 한 언어 사회의 모든 구성원의 정신에 존재하는 언어 요소의 한 범주를 형성하는” 것이며 음소란 “언어의식이 불가분리한 것으로 감지하는 최소의 단위”란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 나라 사람들의 머리 속으로는 이것들을 하나의 소리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또 그는 영어의 time의 t와 sting의 t는 현저히 다르기는 하나, 그 다름은 영어를 모국말로 쓰는 국민의 의식에는 상관 없는 것이라 하였다.
3. 사피어(E. Sapir)
아메리카의 언어학자 사피어(E. Sapir)도 일찍 말소리가 존재하는 세계가 둘이 있음을 지적하였는데, 그 한 가지는 심리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곧 그는 영어의 ts가 말 끝에만 나타나는 닿소리떼임에 대하여, 도이치말에 나타나는 같은 소리는 한 소리의 심리적 대등으로서, 자유롭게 -위치의 제한 없이-쓰임을 주의하였다.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음운론-음소정의(定義)에 관련되어 알아본 글입니다. 이와 같이, 구체적인 말소리가 머리 속에 반영된 것이 곧 음소란 것이다. Haida말에서는 이러한 두 소리가 분명히 구별되나 -sting(two)의 t는 무기, sta(from)의 t는 유기-안울림과 울림은 전혀 구별되지 않…(drop)
Download : 음운론-음소정의.hwp( 82 )
음운론-음소정의(定義)
음운론-음소정의에 대해서 알아본 글입니다.음운론-음소정의 , 음운론-음소정의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음운론-음소정의(定義)
Ⅰ. 들어가며 2
Ⅱ. 여러 학자들의 異說 2
1. 쿠르트네이(J.Baudouin de Courtenay) 2
2. 비이크(N. van Wijk) 2
3. 사피어(E. Sapir) 2
4. 존스(D. Jones) 2
5. 트루베츠코이(Trubetzkoy) 3
6. 블룸필드(Leonard Bloomfild) 3
7. 마르티네(A. Martinet) 4
Ⅲ. 나가며 5
*** bibliography 5
Ⅰ. 들어가며
음소의 정체를 파악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우리는 여기에서 여러 음운학자들의 음소에 대한 定義(정의)를 紹介(소개)해 둘 필요를 느낀다.